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영양실조에 시달리는 북한의 영유아 수가 20년 동안 크게 줄었지만 평양과 지방 간 격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북한경제리뷰에 실린 ‘북한 영유아의 영양실태: 장기적 추세와 국제적 비교’(김슬기 뉴욕주립대 올버니캠퍼스 박사과정)를 보면 북한에서 출생 시 몸무게 2.5㎏ 미만인 저체중아 비율은 1998년 9%에서 2017년 3.1%로 줄었다.

0~6세 아동 가운데 연령 대비 키로 측정한 만성 영양실조 영유아의 비중은 1998년 62.3%에서 2017년 19.1%로 낮아졌다. 20년 동안 43.2%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1998년 15.6%였던 급성영양실조(키 대비 몸무게 기준) 아동의 비율은 지난해 2.5%로 내려갔다...

?

  1. 평양 다녀온 김홍걸 “북, 남측 보수층도 참여한 협력사업 요청”

  2. 남북 단체, 만월대 발굴 논의…재개 가시화하나

  3. 대북 제재 수위 어디까지…고심 깊은 정부

  4. “北, 새로운 ICBM 개발 중” 외신 보도... 화물차량 사진 한 장으로 ‘의혹 부풀리기’

  5. 북 0~6세 영양실조 20년간 62% → 19% 도시·지방 큰 격차

  6. 통일관련 여론조사 현황 : 2018년 8월(상)

  7. 유니세프 "北리용호, 포어 총재 면담…인도적 상황 논의"

  8. 중·러 "北제재 완화" 미·영·프 "No"… 안보리서 격돌 출처

  9. 10~20대 열명 중 네명 “통일비용 부담하고 싶지 않다”

  10. 민화협 “남북 민간연락사무소 열자” 비정부 단체 첫 상설 대화기구 제안

  11. [기고/김신곤]南北 ‘보건 격차’도 대비해야 한다

  12. 짐 로저스 “北 개방, 한국에 엄청난 경제 수혜 가져올 것”

  13. "北 경제자유 진전땐 리스크 줄어" S&P,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

  14. WHO “북 결핵, 전 세계서 가장 심각”

  15. 유엔아동기금 "올해 상반기 北아동 130만명 영양 지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