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만들어진 모든 총과 진수된 모든 전함, 그리고 발사된 모든 로켓은 궁극적으로 굶주려도 먹지 못하고 헐벗어도 입지 못한 사람들로부터 빼앗은 것입니다."

2차 세계대전의 영웅이자 5성 장군 출신인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1953년 4월 16일 미국 신문편집자협회 회원들 앞에서 역설한 말이다. 그로부터 60여 년이 훌쩍 지난 오늘날의 미국의 현실을 아이젠하워가 보면 아마도 지하에서 통곡을 하고 있을 것이다. 21세기 들어 미국의 군사비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는 반면에, 미국인들의 삶의 질은 곤두박질치고 있기 때문이다. 거의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대통령 트럼프'는 이러한 미국병의 산물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한국의 현실은 어떨까? 앞선 글들에서 언급한 것처럼 문재인 정부 들어 한국의 국방비는 또다시 고공 행진을 하고 있다. 반면 경제와 민생 위기의 원인과 그 수준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상당수 국민들의 삶이 갈수록 고달파지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먹고 사는 문제뿐만이 아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우리의 상공을 뒤덮으면서 숨 쉬고 사는 것조차 버거워지고 있다...

?

  1. 화상상봉·타미플루 지원 ‘제재면제’ 될까

  2. 한국이 1년8개월 못한 대북 인도지원 스위스·스웨덴·캐나다·러시아가 했다

  3. 프란치스코 교황 "남북한 화해·일치 중요...늘 한국 위해 기도"

  4. 평양 다녀온 김홍걸 “북, 남측 보수층도 참여한 협력사업 요청”

  5. 판문점선언 1년… 뉴욕 한복판 남과 북 이은 인간띠

  6. 트럼프 “한국의 북한 식량지원 시의적절하고 긍정적”

  7.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공기업으로 전환 검토

  8. 통일부 "화상상봉 제재면제 시간걸려...미국내 협의절차 요인도"

  9. 통일부 "타미플루 20만명분 내주 초 北에 전달 추진"

  10. 통일관련 여론조사 현황 : 2018년 8월(상)

  11. 짐 로저스 “北 개방, 한국에 엄청난 경제 수혜 가져올 것”

  12. 중·러 "北제재 완화" 미·영·프 "No"… 안보리서 격돌 출처

  13. 주북 러시아 대사 "평양에서 기본 생필품도 사기 어려워"

  14. 정파·종교 초월 '평화·통일비전 전국시민회의' 출범

  15. 정부, 국제기구 통한 對北식량공여 검토… 내주 美와 협의

  16. 이종석 전 통일부장관 “북한 비핵화전략 수정중…대북 식량지원이 돌파구”

  17. 이제 국방비를 시민에게...한국판 '총과 버터' 논쟁

  18. 이낙연 총리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빨리 복구"

  19. 유엔아동기금 "올해 상반기 北아동 130만명 영양 지원"

  20.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경우에 따라선 면제” 새 지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